AWS (Amazon Web Services)
장점
- 시장 점유율 1위 : 가장 오래된 클라우드 서비스로 안정성과 신뢰성 높음
- 서비스 다양성 : 200개 이상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글로벌 인프라 : 전 세계 26개 지역, 84개 가용 영역으로 넓은 커버리지
- 성숙한 생태계 : 풍부한 문서, 교육 자료, 커뮤니티 지원
- 인증 체계 : 잘 구축된 자격증과 교육 프로그램
단점
- 복잡한 가격 체계 : 초보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요금 구조
- 초기 학습 곡선 : 서비스가 많아 처음 시작하기 어려울 수 있음
- 비용 관리 : 예상치 못한 청구가 발생할 가능성
GCP (Google Cloud Platform)
장점
- 데이터 분석 및 AI 강점 : BigQuery, AI/ML 도구 등 데이터 처리 기술 우수
- 네트워크 성능 : Google의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 활용으로 빠른 속도
- 편리한 사용자 경험 : 직관적인 콘솔과 인터페이스
- 비용 효율성 : 분 단위 청구, 자동 할인 등 비용 최적화 기능
- Kubernetes 강점 : Google이 개발한 만큼 GKE(Google Kubernetes Engine)가 우수
단점
- 서비스 범위 : AWS보다 제공하는 서비스 수가 적음
- 기업 시장 점유율 :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AWS보다 약함
- 지역 가용성 : AWS보다 데이터 센터 수가 적음
시장 선호도
AWS
- 전체 클라우드 시장의 약 32-33% 점유(2024년 기준)
- 대기업, 스타트업 모두에서 폭넓게 사용
- 금융, 의료 등 규제가 많은 산업에서 선호
GCP
- 전체 클라우드 시장의 약 9-10% 점유(2024년 기준)
-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프로젝트에서 강세
- 기존 Google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에서 선호
선택 기준
다음 조건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기존 기술 스택 : Microsoft 기술을 많이 사용한다면 Azure, Google 서비스를 많이 사용한다면 GCP
2. 필요한 서비스 :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하면 AWS, 데이터 분석/ML에 집중한다면 GCP
3. 예산 : 초기 비용에 민감하다면 GCP의 무료 티어와 할인이 유리할 수 있음
4. 기술적 복잡성 : 사용 편의성을 중시한다면 GCP가 더 직관적
5. 지역적 요구사항 : 특정 지역에 서비스해야 한다면 해당 지역의 데이터센터 유무 확인
두 서비스 모두 우수하며, 프로젝트의 특성과 조직의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롬프트 지니: ChatGPT 자동 번역기 사용법 (크롬 확장 도구 소개) (1) | 2025.05.20 |
---|---|
구글 애드센스 수익 집계 방식 (0) | 2025.02.20 |
테슬라 마스터 플랜 : 미래를 향한 비전 (0) | 2025.02.10 |
[git] 체크아웃(checkout) (0) | 2025.01.07 |
[git] pull, 가져오기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