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Git을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가 바로 git log이다. 프로젝트의 커밋 내역을 확인하는데 필수적인 명령어이며, 다양한 옵션을 통해 커밋 내역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git log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git log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모든 커밋 내역이 시간 순서대로 출력된다. 각 커밋은 해시값, 작성자, 작성 시간, 커밋 메시지로 구성된다.
유용한 옵션들
git log는 다양한 옵션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유용한 명령어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몇 가지 자주 사용되고 유용한 예시들을 카테로기 별로 나누어 정리한다.
특정 기간 또는 커밋 범위 확인
- 특정 날짜 이후의 커밋
git log --since="2024-12-20"
// 2024년 12월 20일 이후의 커밋
- 특정 날짜 이전의 커밋
git log --until="2024-12-20"
//2024년 12월 20일 이전의 커밋
- 두 커밋 해시 사이의 커밋
git log d1a24bcc..2e4832df
// 커밋 해시 d1a24bcc와 2e4832df 사이의 모든 커밋
- 특정 브랜치의 커밋
git log develop
// develop 브랜치의 커밋
- 특정 파일의 변경 내역
git log --follow -- <파일경로>
// 파일의 이동 및 이름 변경을 추적하며 변경 내역 확인
커밋 내용 상세히 보기
- 변경된 내용 보기
git log -p
// 각 커밋의 변경 내용을 보여준다. -p -2 같이 춧자를 추가하면 출력 양을 제한할 수 있다.
- 통계 정보 보기
git log --stat
// 각 커밋에서 변경된 파일 목록과 변경 라인수를 보여준다.
- 변경된 파일만 보기
git log --summary
// 각 커밋에서 변경된 파일 목록을 간략히 보여준다.
- 그래프 형태로 보기
git log --graph --oneline --decorate
// 브랜치 분기 및 병합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검색 및 필터링
- 커밋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 검색
git log --grep="키워드"
// 커밋 메시지에 "키워드"가 표함된 커밋만 표시
- 특정 작성자의 커밋
git log --author="작성자이름"
// 특정 작성사의 커밋만 표시
- 특정 파일을 변경한 커밋
git log -- <파일경로>
// 특정 파일을 변경한 커밋만 표시
출력 형식 변경
- 한줄로 요약
git log --oneline
// 각 커밋을 한 줄로 간결하게 표시
- 수정된 파일 수 표시
git log --shortstat
// 각 커밋의 변경된 파일 수와 삽입/삭제 라인 수를 간략하게 표시
- 색상 강조
git log --color
// 출력에 색상을 추가하여 가독성을 높인다. 터미널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옵션 조합의 예
위의 옵션을 가지고 상황에 맞는 조합의 예를 살펴본다.
"최근 5개의 커밋에서 변경된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해서 보고 싶어"
git log -5 --oneline -p
"'bug fix'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커밋을 찾고 싶어"
git log --grep="bug fix"
"2024년 12월 이후 John 작성자의 커밋을 보고 싶어"
git log --since="2024-12-01" --author="John"
이 외에도 다양한 옵션들을 좋바하여 사용할 수 있다. git log --help 명령어를 통해 모든 옵션을 확인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옵션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pretty 옵션을 사용하여 출력 형식을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IT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체크아웃(checkout) (0) | 2025.01.07 |
---|---|
[git] pull, 가져오기 (0) | 2024.12.31 |
AI의 삼파전: ChatGPT vs Claude vs Gemini (0) | 2024.09.19 |
[git] 태그 (tag), 꼬리표 달기 (0) | 2023.12.12 |
[git] 설정파일 알아보기 (0)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