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로컬 컴퓨터에 git을 설치한다.
Homebrew를 이용한 설치
homebrew는 MacOS에서 패키지 관리를 위해 사용한다.
homebrew를 처음 설치한다면 homebrew 사이트의 설치하기 명령어를 복사하여 터미널에 붙여 넣어 실행한다.
homebrew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git을 설치할 수 있다.
> brew install git
설치가 완료되면 git의 버전을 확인해 본다. 버전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 git --version
git version 2.37.3
Windows나 리눅스를 비롯한 다른 OS를 사용하고 있다면, git 사이트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운영체제 별 설치 방법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길 바란다.
초기 설정
설치는 잘 되었고, 이제 git을 사용하기 위한 초기 설정을 해 본다.
git에서 사용자 구분은 이름과 이메일을 이용하므로 사용할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한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global 옵션은 시스템 전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넣는다.
옵션을 넣지 않으면 로컬 사용자로 설정되는 것이므로 원한다면 저장소마다 이름과 이메일주소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장소를 생성할 때 마다 매번 새롭게 등록을 해야 하는 것은 번거롭지 아니한가? 딱히 --global 옵션을 뺄 이유는 없을 것 같다.
git 초기화
git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터미널에서 해당 폴더로 이동한 상태에서 초기화 명령어를 입력한다.
> mkdir test-project // 폴더 생성
> cd test-project // 폴더로 이동
> git init // git 초기화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test-project/.git/
git 환경 설정 파일
git의 환경 설정 파일은 git 저장소 안에 .git 이라는 숨김 폴더 안에 config 에 저장되어 있다.
위에서 git config 명령어를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들이 이 파일 안에 저장되는 것이다.
.git 폴더는 git init 명령으로 생성되는 폴더로 '이제 이 폴더는 git 저장소로 사용됩니다.'라고 선언하는 것과 같다.
폴더 안에는 여러가지 폴더와 파일이 있는데, git의 모든 브랜치와 이력이 기록되기 때문에 이 폴더를 삭제하면 그 동안 작업했던 git의 작업 내역과 히스토리가 다 사라지게 된다.
참고로 MacOS에서 숨김 폴더와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Shift + Cmd + . 을 누르면 보이고, 한번 더 누르면 숨겨진다.
--global 옵션을 넣어 전역으로 설정 내용을 추가했다면, ~/.gitconfig 을 열어보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설정 | 로컬 설정 | |
설정파일 위치 | ~/.gitconfig | 저장소이름/.git/config |
옵션 | --global | 없음 |
설정 파일을 에디터를 통해 열어 보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CLI 환경에 익숙하지 않다면, 해당 경로의 파일을 본인에게 익숙한 에디터로 열어 내용을 직접 수정하고 저장할 수도 있겠다.
아래 명령은 VS Code를 실행하여 해당 경로의 파일을 보여준다.
> code ./git/config // 로컬 설정
> code ~/.gitconfig // 글로벌 설정
파일을 열어 보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이름 ( user.name )과 이메일 주소( user.email )는 [user] 영역 아래에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에디터를 통해 글로벌 설정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e 혹은 -edit 옵션은 사용자가 지정해 둔 편집기를 실행하는 옵션이다.
> git config --global -e
git의 글로벌 설정에 추가해 놓으면 편해지는 내용들은 별도의 포스팅으로 정리해 보겠다.
2022.09.23 - [Dev.] - [git] 한번 제대로 써보자
[git] 한번 제대로 써보자
지금까지 git은 주로 GUI 클라이언트인 소스트리(SourceTree)를 통해 사용했다. 대부분 커밋, 머지, 커밋, 머지의 반복이었다. 그것만으로도 git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다가 실
littleneedle.tistory.com
2022.09.27 - [Dev.] - [git] 작업 영역과 상태
[git] 작업 영역과 상태
git 작업 영역과 상태 구분 git 설치가 완료되면, 초기화를 진행한 후, 브랜치를 생성하고, 작성한 코드를 git에 추가하고, 추가한 코드를 로컬 저장소에 반영하는 과정을 거치며 진행한다. 앞의 로
littleneedle.tistory.com
2022.10.05 - [Dev.] - [git] 커밋하기
[git] 커밋하기
개발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정되는 코드의 변경 사항을 모두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코드의 변경 이력과 시점의 변화를 기록해 두는 것이 커밋이다. 이 커밋이 코드를 과
littleneedle.tistory.com
'IT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작업 영역과 상태 (0) | 2022.09.27 |
---|---|
맥 개발 환경 세팅 ( iTerm2 + Oh my zsh + powerlevel10k ) (0) | 2022.09.26 |
[git] 한번 제대로 써보자 (1) | 2022.09.23 |
NVM으로 Node 버전 관리하기 (0) | 2022.09.18 |
VS Code 테마 추천 SynthWave '84 (2)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