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살 때, "이 회사 주가가 적당한가?"를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
이때 많이 쓰는 지표가 바로 PBR(주가순자산비율)과 PER(주가수익비율)이다.
PBR (주가 순자산 비율 )
회사의 자산 대비 주가는 적절할까?
PBR은 회사가 보유한 자산(순자산)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망했을 때 남는 자산보다 주가가 높은지 낮은지"를 보는 것이다.
PBR 공식
- BPS(Book Value Per Share): 한 주당 자산 가치
- PBR이 1보다 작으면 회사 자산보다 주가가 싸다는 의미
- PBR이 1보다 크면 자산보다 주가가 비싸다는 의미
예시
- A 회사
- 주당 순자산(BPS): 10,000원
- 현재 주가: 15,000원
- PBR = 15,000 ÷ 10,000 = 1.5배
➡ 현재 주가가 순자산보다 1.5배 높게 거래 중!
➡ PBR이 낮을수록 저평가 가능성이 있지만, 너무 낮으면사업성이 나쁠 수도 있음!
PER (주가 수익 비율)
회사의 이익 대비 주가는 적절할까?
PER은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EPS)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이 회사의 이익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몇 년이 걸릴까?"를 보여준다.
PER 공식
- EPS(Earnings Per Share): 한 주당 이익
- PER이 높으면 성장 기대감이 크지만, 주가가 비쌀 가능성있음
- PER이 낮으면 저평가된 것일 수도 있지만, 이익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음
예시
- B 회사
- 주당 순이익(EPS): 2,000원
- 현재 주가: 20,000원
- PER = 20,000 ÷ 2,000 = 10배
➡ 현재 이익 수준이면 투자금 회수까지 10년 걸림!
➡ PER이 높으면 성장성이 크다고 평가받는 기업 (예: IT, 바이오 기업)
➡ PER이 낮으면 안정적이지만 성장성은 낮은 기업 (예: 전통 제조업)
PBR과 PER, 같이 보면 더 정확하다!
이 두 지표는 함께 보면 더 좋은데, 예를 들어
🔹 PBR이 낮고 PER도 낮다?
👉 자산 대비 주가도 싸고, 이익 대비 주가도 저렴 →저평가된 기업일 가능성!
🔹 PBR이 낮은데 PER이 높다?
👉 자산은 많지만 이익이 적음 →수익성이 낮을 수도 있음
🔹 PBR이 높은데 PER이 낮다?
👉 성장성이 커서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받고 있음!
🔹 PBR이 높고 PER도 높다?
👉 주가가 거품일 가능성이 있음! 😱
한눈에 보는 정리표
지표 | 공식 | 의미 | 낮으면? | 높으면? |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 회사의 자산 대비 주가 수준 | 저평가 가능성 | 고평가 가능성 |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 | 회사의 이익 대비 주가 수준 | 저평가 가능성 | 성장 기대 |
PBR과 PER은 단순히 숫자로만 판단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업종, 성장성, 시장 분위기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저평가된 주식을 찾고 싶다면 PBR과 PER을 같이 보면서 투자 가치를 판단해야 한다!" 🚀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금융 관련 취득 가능한 자격증 (0) | 2025.02.03 |
---|---|
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치투자 기준 (1) | 2025.02.02 |
절세 계좌 ISA & 연금저축, 그리고 종합소득세 (0) | 2025.01.22 |
미국 ETF JEPI와 SCHD 알아보기 (0) | 2025.01.21 |
해외주식 수익에 대한 세금은? (4)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