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가 매수로 평균 매입 단가 조정하는 방법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예상보다 주가가 하락할 때가 많습니다. 이때 평단가(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기 위해 추가 매수를 고려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몇 주를 더 사야 목표한 평단이 되는지 계산하는 평균 매입 단가 조정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평균 매입 단가란?
평균 매입 단가란 내가 보유한 주식의 총 매입 금액을 총 매수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평균 매입 단가 = 총 매입 금액 / 총 보유 주식 수
예를 들어, 엔비디아(NVIDIA)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고, 평단이 500달러라면 총 투자 금액은 50,000달러(= 500 × 100)입니다.
---
추가 매수 시 평단 계산법
추가 매수를 하면 기존 평단이 변경됩니다. 새로운 평균 매입 단가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매입단가
= {(현재단가 * 현재주식수) + (추가단가 * 추가주식수)} / (현재주식수 + 추가 주식수)
예제: 엔비디아 추가 매수
현재 엔비디아 100주를 평단 500달러에 보유 중이며, 추가로 50주를 450달러에 매수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새로운 단가
= {(500*100)+(450*50)} / (100+50)
= (50,000 + 22,500) /150
= 483.33 달러
즉, 추가 매수 후 평단이 483.33달러로 낮아집니다!
---
목표 평단을 맞추려면 몇 주를 사야 할까?
만약 목표한 평단이 있다면 몇 주를 추가 매수해야 하는지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추가 매수 주식수
= {(현재단가 * 현재주식수) - (목표단가 * 목표주식수)} / (목표단가 - 현재 단가)
예제: 테슬라 주식 목표 평단 맞추기
현재 테슬라 주식 190주를 평단 320.74달러에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220달러로 낮추고 싶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현재 테슬라 주가는 213.60달러이므로, 몇 주를 더 사야 할까요?
추가 매수 주식수
= {(320.74 * 190) - (220 * 190)} / (220 - 213.60)
계산 결과, 2,991주를 추가 매수해야 평단이 220달러가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금액을 한 번에 투자하기는 쉽지 않죠. 따라서 분할 매수 전략을 사용해 천천히 매입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평단 낮추기 전략, 무조건 좋을까?
평단을 낮추는 것은 단순한 수치상의 조정일 뿐,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입니다. 단순히 손실을 만회하려고 추가 매수를 한다면 물타기가 아닌 손절이 더 현명한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
평단 낮추기 고려할 때 체크해야 할 점
✔️ 해당 기업의 성장성이 여전히 유효한가?
✔️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할 근거가 있는가?
✔️ 추가 매수 후 포트폴리오 비중이 너무 커지지 않는가?
✔️ 장기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투자 금액인가?
---
평단 조정은 전략적으로!
평단을 낮추는 것은 투자 전략의 일부일 뿐, 무조건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추가 매수는 기업의 펀더멘털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하락장에서 보유 주식 대처 방안은? (1) | 2025.04.07 |
---|---|
MDD, 공포탐욕지수 그리고 장기투자 물타기 전략 (1) | 2025.03.27 |
FOMC 점도표와 투자 (0) | 2025.03.10 |
테슬라와 4680 배터리 (0) | 2025.03.05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투자 (0) | 2025.02.28 |